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배설 장애 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배설 장애는 아동의 지적 능력, 인지능력, 언어능력, 사회성숙도 등이 연령에 걸맞게 제대로 성장하고 대소변을 가릴 적합한 시기가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일정 기간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장애입니다. 이는 아동의 심리적인 문제가 크게 작용합니다. 배설 장애는 유뇨증과 유분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시간대에 따라 주간성, 야간성, 주야간 복합성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 의지나 의도에 따르지 않거나 통제되지 않는 상황이지만 때로는 의도적이기도 합니다. 유뇨증과 유분증 유뇨증은 당뇨나 요도 감염과 같은 다른 문제가 없는데도 밤에 자다가 잠자리에 소변을 보는 야간성 유뇨증과 낮에 놀 때 옷이나 방바닥에 소변을 보거나 낮잠을 자면서 소변을 보는 주간성 유뇨증이 있습니다. 또 태어나서 지금까지 지속해서.. 2023. 1. 12.
내부와 외부의 조화, 계란화와 동굴화 미술 기법 계란화, 동굴화 미술 기법에 있어 그림 공간이 가지는 의미나 그 유한성을 고찰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중요합니다. 즉 치료 공간과 그리는 공간이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기에 치료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치료 공간에서 적당한 제한이 심리요법에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림 공간 속에 일정한 테두리를 설정하여 그림 공간이 가지는 유한성을 강조하여 내담자의 그림 행동을 촉진하며, 그림의 상징성과 그림 공간을 생각하는 데 중요한 요소인 원형을 결합하였습니다. 계란화, 동굴화는 원형의 하나인 타원 테두리를 공간 묘화에 이용한 기법입니다. 계란화, 동굴화에 사용되는 타원 테두리는 자유로운 표현을 촉진하는 보호성, 유한성을 창출하여 내담자에게 심리적으로 안정된 이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또 적당한 크기의 여백 공간이 있.. 2023. 1. 10.
마음을 표현하는 풍경구성법 풍경구성법은 미술치료 그림 검사법의 하나로 원래 조현병 환자를 주 대상으로 고안되었습니다. 그러나 독자적인 가치가 인정되고 이론적으로 분석되어 치료적으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풍경구성법은 진단 도구로서뿐만 아니라 치료 과정에 활용되어 큰 효과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풍경구성법의 실시 방법 종이와 사인펜, 색연필 등을 준비한 후 치료자가 검은 펜으로 용지에 테두리를 그려 내담자에게 제시합니다. 지시사항에 따라 그림을 그리게 하는데, 내담자에게 10개의 항목(강, 산, 논 또는 밭, 길, 집, 나무, 사람, 꽃, 동물, 돌)을 차례대로 불러 주고 내담자는 검은색 펜으로 순서대로 풍경을 그립니다. 그림을 그릴 때 그리는 항목을 하나씩 불러 주도록 합니다. 다 그린 후에 추가로 더 그려 넣고 싶은 것이 있으.. 2023. 1. 6.
미술치료와 콜라주 기법 '콜라주(Collage)' 란 원래 'coller' 라고 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말로서 '풀로 붙인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잡지나 그림, 달력, 사진, 헝겊, 단추, 실, 낙엽, 골판지, 투명지 등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찢거나 오리고, 잘라서 종이 등에 구성하여 붙여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하는 것으로서 20세기 초에 생겨난 미술표현 방법입니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콜라주 기법은 미술치료의 하나의 기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기법은 자신을 개방시켜 주고 자신의 심상을 발견하거나 또 개발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치료기법입니다. 콜라주 기법의 의미 이 기법은 내담자의 관심과 흥미를 분명하게 해 주며 사진이나 그림만을 이용해서도 자신의.. 2023.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