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부와 외부의 조화, 계란화와 동굴화 미술 기법

by 옴팽 2023. 1. 10.
반응형

계란화, 동굴화 미술 기법에 있어 그림 공간이 가지는 의미나 그 유한성을 고찰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중요합니다. 즉 치료 공간과 그리는 공간이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기에 치료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치료 공간에서 적당한 제한이 심리요법에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림 공간 속에 일정한 테두리를 설정하여 그림 공간이 가지는 유한성을 강조하여 내담자의 그림 행동을 촉진하며, 그림의 상징성과 그림 공간을 생각하는 데 중요한 요소인 원형을 결합하였습니다. 계란화, 동굴화는 원형의 하나인 타원 테두리를 공간 묘화에 이용한 기법입니다. 계란화, 동굴화에 사용되는 타원 테두리는 자유로운 표현을 촉진하는 보호성, 유한성을 창출하여 내담자에게 심리적으로 안정된 이미지를 줄 수 있습니다. 또 적당한 크기의 여백 공간이 있고 타원 테두리라는 중심이 있으므로 원 테두리만큼 중심화 경향이 적습니다. 더불어 '계란'이나 '동굴'이라는 의미나 상징성을 가진 테두리로 지시받으므로 그림 이미지에 자극 동기를 부여한다는 의의를 가집니다.

계란을 깨고 나오기

계란화의 특성

계란화는 계란이라고 하는 물체 이미지를 자극하고, 타원 테두리 내측에 초점을 두어 계란을 발견하고 파괴해 새롭게 탄생하는 과정을 그림의 공간에 표현하는 것입니다. 계란화의 특징은 타원 테두리의 공간인 계란 파괴에 내담자를 참여하게 하여 내담자와 치료자 쌍방이 예측하지 못한 새로운 것이 탄생하는 것을 묘사하는 것입니다. 계란의 금은 내담자의 현재의 심리적 에너지의 강도를 나타냅니다.

실시를 위해 스케치북과 연필, 색연필 등이 필요합니다. 그 후에 치료자가 용지에 계란 형태의 큰 타원을 그려 주면서 내담자에게 무엇으로 보이는지 묻고 계란이라는 것을 인지시킵니다. 계란이라는 인식이 공유되면 이 계란에서 지금 무엇인가 태어나려고 하는데 내담자에게 계란에 선을 그려 태어나는 것을 도와달라고 동기화시킵니다. 내담자가 계란에 깨지는 선을 그려 주면 계란에서 무엇이 태어날 것 같은지 질문합니다. 대개 병아리라고 답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면 그렇군요, 병아리가 계란에서 태어나는군요.’라고 하며 주고받기합니다. 하지만 이 계란은 그림 계란이기 때문에 무엇이라도 태어날 수 있고, 내담자가 선을 그려 주었기 때문에 내담자의 계란이라고 할 수 있으니 내담자가 계란에서 나오면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계란의 껍데기와 함께 그리도록 합니다. 색칠하기를 원하면 색칠하여 완성하게 하고, 계란화에서 표현되는 것은 내담자의 표현을 존중해 줍니다.

동굴 바깥 세계

동굴화의 특성

동굴화는 타원 테두리 공간을 동굴 입구로 가정하여 치료자가 개입해 내담자에게 동굴 속에서 바깥 세계를 바라보게 하며 바깥 풍경을 그리게 하는 것입니다. 계란화는 물체 이미지를 자극하는 반면 동굴화는 공간 이미지를 자극하고, 타원 테두리 내측과 외측 즉 양측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외측의 여백 공간이 중요하며 이것은 내담자의 심리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먼저 다양한 크기의 용지와 연필, 채색 도구를 준비합니다. 치료자가 그림 용지에 타원을 그립니다. 혹시 계란화에 이어서 시행할 경우에는 타원이 계란이 아니고 동굴이라고 인지시킵니다. 그 후 여기가 동굴 입구인데 만일 당신이 동굴 안에 살고 있다면, 바깥 세계는 어떤 세계가 보이면 좋을지 그리도록 합니다. 동굴 속에서 본 바깥 세계의 풍경이 완성되면 채색 희망을 묻고 원하면 색칠하게 합니다. 내담자가 색칠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는 동굴 벽에 당신이 좋아하는 색을 칠해달라고 하여 동굴 벽만 칠하게 합니다. 이때 치료자는 동굴화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질문을 던집니다. 그림의 계절이나 시간, 동굴에 실제 사는 것 등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림 중에 표현된 사물에 대한 언어화를 촉진하고, 내담자와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촉진하여 내담자의 심리상태와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마지막으로 계란화와 동굴화 이 두 기법은 고유한 기법으로 따로 시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혹시 두 기법을 같이 시행할 경우는 계란화를 먼저 그리고 난 후 동굴화를 그리는 것이 적합하며 타원 테두리의 크기는 너무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합니다.

반응형

댓글